본문 바로가기
728x90
300x250

전체 글79

오메가 3 오메가3를 섭취하면 혈압은 낮아진다. 정상 혈압을 가진 사람에게 그 효과는 경미하지만, 고혈압 환자에게서는 그 효과가 강력하다. 오메가3 대신 비타민 E를 섭취한 환자들에게는 사망률의 감소가 별로 없었다. 심장병 환자들의 돌연사는 혈관이 막혀서만 오는 것은 아니고 치료가 힘든 악성 부정맥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오메가3는 이러한 악성 부정맥을 어느 정도 막아주는 기능이 있어 돌연사 예방에 일조한다는 것이 최근 증명된 바 있다. 오메가3 효과 첫째, 오메가3를 많이 먹으면 전립선암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든다(영국 의학 전문지 ‘랜싯’) 둘째, 생선회(오메가3)를 많이 먹는 사람들은 특히 폐암 중 선암(腺癌) 발생률이 50%나 낮다(영국의 암 전문지 ‘암’). 셋째, 등 푸른 생선(오메가3)을 일주일에 한 번 .. 2024. 2. 10.
들깨/들기름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는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재배되고, 한국의 경우 전국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들깨 종자로부터 착유한 들기름은 한국에서 오래 전부터 식용으로 사용해 왔으며, 다른 식용유에 비하여 들기름의 지방산은 알파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사(EPA), 도코사 헥사에노산(DHA), 오메가3계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존재하고, 뇌, 신경계통의 발달과 성인병의 예방을 해준다.(다이어버그(J, Dyerberg)박사, 1960). 들기름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 6.3%, 스테아르산 1.6%, 올레산 13.8%, 리놀레산 14.6%, 알파리놀렌산 62.8%등 이다.(최춘언, 1996) 들께.. 2024. 2. 10.
김(Porphyra yezoensis) 김은 홍조식물로 홍조강(紅藻綱), 원시홍조아강(原始紅藻亞綱), 김목(目), 김과(科)에 속하는 해조류로써, 김 품종은 세계적으로 140여 종, 우리나라에서는 16여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완전식품에 가까울 만큼 영양학적으로 매우 가치가 높은 김은 과거에는 블랙페이퍼로 서양인들이 금기시 했던 식품이었으나, 최근 이들의 입맛까지 사로잡은 식품으로 재조명 받고 있다. 김(Porphyra yezoensis)은 미역 및 다시마 등의 해조류와 함께 각종 미네랄, 식이섬유, 조미소스, 영양의 공급원으로 애용되어 온 기호식품으로서 최근에는 이들 해조 성분이 가지는 생체 유지기능에 관해서도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Kim & Kim 1982). 김에는 무기질 함량은 제품 100g 당 칼슘 205.2mg, 철분 .. 2024. 2. 9.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갈조 식물군에 속하며, 동의보감에 서는 ‘곤포’라 하여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고혈압, 동맥경화, 갑상선종, 신장염에 효과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노화를 예방하는 건강장수식품으로 기록되어 있다.(J. Hur, Dong-ui-bo-gam, 1999 ). 또한, 신체 생리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Na, k, Ca, Mg, P, S 등)과 fucoidn, laminaran, alginic acid등 다당류 및 폴리페놀류와 같은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K .Nada, V. Luciana, M. Nada, V. Stocchi, 2004) 갈조류의 폴리페놀에 항산화능력은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간 보호, 항바이러스 및 항박테리아, 항암, 항염증 효.. 2024. 2. 6.
꼬시래기(Gracilaria vermiculophylla) 꼬시래기는 지서성 해조류로 바위, 암반등의 무생물적인 기질 뿐만 아니라 해양의 동식물 표면 또는 내부에서도 생육하고 있다. 특히 다른 생물의 표면 위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착색해조류이다. 꼬시래기(Gracilaria vermiculophylla)는 전세계적으로 식용, 한천 등의 원료로 이용되는 매우 유용한 해조류 중의 하나이다.(김하원, 이용이, 김영식, 2019) alginate(알지네이트), fucoidan(후코이단)은 다시마, 미역과 같은 갈조류에 많이 들어 있는 다당류이다. alginate(알지네이트)는 생체 적합성 및 겔화의 용이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 때문에 생의학 및 공학 분야에서 수많은 응용 분야에 이용되는 생체 적합 물질로서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은 조직의 세포 외 매트릭스와 구조적 유사성을 .. 2024. 2. 6.
톳(Hizikia fusiformis) 톳(Hizikia fusiformis)은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과 함께 갈조류 (Phaeophta)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해안 및 제주도에 서식하는 천연자원 식물이다 (Park,. & Ryu, 2013). 독특한 맛을 가지며 주로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항암, 면역 증강 항산화 및 항균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다른 해조류에 비해 칼슘, 철, 요오드 같은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다. 4주 동안 쥐에게 경구투여하여 생리활성에는 항염증, 간 보호,항고지혈증 및 항콜레스테롤효와 토코페롤 농도가 높게 나왔다고 한다.(김향석, 최은옥, 박철휘, 최영현, 2011) 톳은 활성화를 막아 미세먼지 유도 피부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미세먼지 유도 피부염.. 2024. 2. 6.
미역 갈조류에는 섬유소를 비롯하여 미네랄, 무기질, 비타민 및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알긴산(alginic acid), 퓨칸(fucan), 라미나란(laminaran) 등의 수용성 다당류가 풍부하다(Shim 등,2003). 이들 수용성 다당류는 다량 섭취 시 인체에 무해하며, 퓨칸과 알긴산 유도체들은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종양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Hsueh와 Anderson, 1992) 미역은 Na, K, Ca, Mg, P,S 등의 무기질, 식이섬유소, 리놀산 및 비타민 등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Kim과 Kim, 1982; Choi 등,1992). 특히, 미역에 들어 있는 점질 다당류인 알긴산(alginicacid)은 중금속 및 방사능 물질의 체외배출, 콜레스테롤 저하,.. 2024. 2. 5.
유산균 유산균에는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효소 및 비타민 등을 생성, 공급해 주는2차적 효과를 가진 알칼리성 영양식품이기 때문이다. 채식으로는 섭취가 어려운 비타민B12의 체내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빈혈 예방 효과를 가진 비타민 B6,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티아민(비타민B1), 리보플래빈((비타민B2), 니아신, 판토텐산, 엽산 등의 이차적 섭취를 가능하게 한다. (성소의, 2003) 유산균을 섭취하여 운동과 성장기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에는 고강도 운동 및 유산균 처치집단의 기록은 모든 부분에서 가장 빠른 결과를 나타내고, 고강도 운동이 산화스트레스와 활성산소의 급격한 증가나 면역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지만, 유산균 섭취가 이러한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고, 고강도 운동에 유산균 섭취가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 2024. 2. 5.
당뇨병 1) 당뇨병이란 탄수화물은 위장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변한 다음 혈액으로 흡수됩니다. 흡수된 포도당이 우리 몸의 세포들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인슐린은 췌장 랑게르한스섬에서 분비되어 식사 후 올라간 혈당을 낮추는 기능을 해 만약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성능이 떨어지게 되면,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은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여 소변으로 넘쳐 나오게 되며, 이런 병적인 상태를 '당뇨병’이라고 부릅니다. 2) 당뇨병의 3대 증상 당뇨병의 3대 증상은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증상이 있는데, 당뇨병은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어, 자신이 당뇨병인지 모르고 지내다가 뒤늦게 진단 받는데, 첫째, 소변을 많.. 2024. 2. 2.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