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300x250

건강34

꼬시래기(Gracilaria vermiculophylla) 꼬시래기는 지서성 해조류로 바위, 암반등의 무생물적인 기질 뿐만 아니라 해양의 동식물 표면 또는 내부에서도 생육하고 있다. 특히 다른 생물의 표면 위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착색해조류이다. 꼬시래기(Gracilaria vermiculophylla)는 전세계적으로 식용, 한천 등의 원료로 이용되는 매우 유용한 해조류 중의 하나이다.(김하원, 이용이, 김영식, 2019) alginate(알지네이트), fucoidan(후코이단)은 다시마, 미역과 같은 갈조류에 많이 들어 있는 다당류이다. alginate(알지네이트)는 생체 적합성 및 겔화의 용이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 때문에 생의학 및 공학 분야에서 수많은 응용 분야에 이용되는 생체 적합 물질로서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은 조직의 세포 외 매트릭스와 구조적 유사성을 .. 2024. 2. 6.
톳(Hizikia fusiformis) 톳(Hizikia fusiformis)은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과 함께 갈조류 (Phaeophta)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해안 및 제주도에 서식하는 천연자원 식물이다 (Park,. & Ryu, 2013). 독특한 맛을 가지며 주로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항암, 면역 증강 항산화 및 항균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다른 해조류에 비해 칼슘, 철, 요오드 같은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다. 4주 동안 쥐에게 경구투여하여 생리활성에는 항염증, 간 보호,항고지혈증 및 항콜레스테롤효와 토코페롤 농도가 높게 나왔다고 한다.(김향석, 최은옥, 박철휘, 최영현, 2011) 톳은 활성화를 막아 미세먼지 유도 피부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미세먼지 유도 피부염.. 2024. 2. 6.
미역 갈조류에는 섬유소를 비롯하여 미네랄, 무기질, 비타민 및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알긴산(alginic acid), 퓨칸(fucan), 라미나란(laminaran) 등의 수용성 다당류가 풍부하다(Shim 등,2003). 이들 수용성 다당류는 다량 섭취 시 인체에 무해하며, 퓨칸과 알긴산 유도체들은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종양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Hsueh와 Anderson, 1992) 미역은 Na, K, Ca, Mg, P,S 등의 무기질, 식이섬유소, 리놀산 및 비타민 등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Kim과 Kim, 1982; Choi 등,1992). 특히, 미역에 들어 있는 점질 다당류인 알긴산(alginicacid)은 중금속 및 방사능 물질의 체외배출, 콜레스테롤 저하,.. 2024. 2. 5.
유산균 유산균에는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효소 및 비타민 등을 생성, 공급해 주는2차적 효과를 가진 알칼리성 영양식품이기 때문이다. 채식으로는 섭취가 어려운 비타민B12의 체내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빈혈 예방 효과를 가진 비타민 B6,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티아민(비타민B1), 리보플래빈((비타민B2), 니아신, 판토텐산, 엽산 등의 이차적 섭취를 가능하게 한다. (성소의, 2003) 유산균을 섭취하여 운동과 성장기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에는 고강도 운동 및 유산균 처치집단의 기록은 모든 부분에서 가장 빠른 결과를 나타내고, 고강도 운동이 산화스트레스와 활성산소의 급격한 증가나 면역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지만, 유산균 섭취가 이러한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고, 고강도 운동에 유산균 섭취가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 2024. 2. 5.
당뇨병 1) 당뇨병이란 탄수화물은 위장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변한 다음 혈액으로 흡수됩니다. 흡수된 포도당이 우리 몸의 세포들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인슐린은 췌장 랑게르한스섬에서 분비되어 식사 후 올라간 혈당을 낮추는 기능을 해 만약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성능이 떨어지게 되면,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은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여 소변으로 넘쳐 나오게 되며, 이런 병적인 상태를 '당뇨병’이라고 부릅니다. 2) 당뇨병의 3대 증상 당뇨병의 3대 증상은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증상이 있는데, 당뇨병은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어, 자신이 당뇨병인지 모르고 지내다가 뒤늦게 진단 받는데, 첫째, 소변을 많.. 2024. 2. 2.
무(Korean radish, Raphanns Sativus L.)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작물로 지중해 연안과 중국이 원산지라는 설이 강하며, 배추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대량 소비되는 2대 채소로 알려져 있는 작물이다(조리 과학용어사전, 2003). 무의 경우 십자화과 채소로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 섬유질, 플라보노이드와 건강증진 황화합물로 알려진 glucosinolates(GLs)를 함유하고 있다(이영노, 2006) 십자화과 채소에는 다양한 엽산과 vitamin C, vitamin K, 칼슘과 같은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 특히 십자화과 채소는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암을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여러 연구를 통하여 밝혀져 왔다다(Cr.. 2024. 1. 31.
728x90
728x90